
원시는 조절을 쉬고 있는 상태에서 먼 곳으로부터 오는 광선이 망막 뒷쪽에 초점을 맺는 상태를 말하며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이나 보기 힘들며 눈이 피로해 집니다. 그러나 젊을때는 수정체의 조절로 망막뒤의 초점을 망막에 맺히도록 하여 정시안으로 생각하여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정시안은 멀리 볼 경우 조절이 없으나 원시는 조절을 하여야 하며, 가까운 곳을 볼 경우에도 정시안 보다 더 조절하게 됩니다. 때문에 조절근은 쉴사이없이 긴장해서 조절성 안정피로를 일으키며 심하여 지면 눈만 피로한 것이 아니라 미간과 앞머리가 아파옵니다.
원시는 이와같이 젊을때는 수정체가 조절하여 자동적으로 잘 보이지만40세가 가까워져 수정체와 모양체의 움직임이 둔하여 지면 정시안이나 근시안보다 훨씬 빨리 노안이 됩니다.
눈훈련의 필요성
너무 무리하게 사용되는 모양체근이 적합한 연습을 통해 강화되고 긴장 완하가 되면 수정체의 조절 능력에 효과가 나타납니다.
원시는 눈의 구조상 문제이므로 예방자체는 어려우나 원시이기에 오는 피로와 원시 자체의 진행속도는 눈 훈련을 통하여 대폭 늦출 수 있습니다.